pitcher's elbow는 반복적인 투구 동작에서 발생하는 팔꿈치의 내측 통증 및 염증 상태로, 주로 야구 투수처럼 오버헤드 스로잉을 자주 하는 선수들에게 나타납니다.

♼ 주요 정의 및 원인
pitcher's elbow, 또는 'medial epicondyle apophysitis', 'little leaguer’s elbow'라고도 불리며, 팔꿈치 안쪽의 뼈 돌기(내측상과)가 반복적이고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아 염증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이 부위는 손가락과 손목을 움직이는 근육의 힘줄이 부착된 곳으로, 투구 동작을 반복하면 힘줄 및 성장판에 미세손상이 누적되어 발생합니다.

♼ 증상
팔꿈치 안쪽 통증 및 부기 : 투구 시 또는 투구 후에 통증이 나타나며, 염증이 심할 경우 부기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팔꿈치 전완부로 이어지는 통증 : 내측 통증이 손목이나 손까지 퍼질 수 있습니다.
팔을 완전히 펼치거나 구부리는 데 어려움 : 관절이 뻣뻣해지거나 잠김 현상, 운동범위 감소가 올 수 있습니다.
손의 힘 감소 및 감각 이상 : 드물게 손의 저림, 힘 약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위험 요인
과도한 투구 및 휴식 부족 : 투구 횟수가 많거나 연습 간 휴식이 충분하지 않을 때 많이 발생합니다.
미숙한 투구 폼 및 성장기 어린 선수 : 성장판이 아직 단단하지 않은 9-14세 청소년에게 흔하며, 특히 변화구·커브볼 등 복잡한 구종이 원인에 추가될 수 있습니다.

♼ 진단 방법
문진 및 신체검사: 반복 투구 이력, 팔꿈치 내측 통증, 기능 제한 등을 확인합니다.
통증 유발 검사: 팔꿈치 안쪽을 누르거나, 구부리고 펼 때 통증이 심해지는지 확인하는 특정 동작을 시행합니다.
영상 촬영(X-ray, 초음파, MRI): X-ray로 뼈의 석회화, 성장판 손상 등을 확인하고, 초음파로 힘줄과 인대 손상 여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MRI로 미세 손상이나 조직 변화를 정밀하게 진단합니다.



♼ 치료 방법
1.보존적 치료
휴식 및 부하 감소: 투구량 조절, 일상 동작에서 팔꿈치 사용 줄이기, 휴식 기간 확보가 가장 기본입니다.


물리치료와 스트레칭: 근육과 힘줄의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해 부드러운 스트레칭, 마사지, 열·냉찜질, 운동치료(편심성 수축 운동 등)를 시행합니다.

약물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복용으로 염증/통증을 완화합니다.
주사치료: 증상이 심할 때 선택적으로 스테로이드 또는 충격파 치료를 실시하나, 과도한 주사 치료는 힘줄 손상 위험이 있어 신중하게 시행합니다.

2.중증 및 만성 손상 시
수술적 치료: 힘줄이나 인대의 파열, 성장판 손상이 심하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면 내측측부인대 재건술, 힘줄 봉합술 등의 수술을 진행합니다. 스포츠 선수의 경우 빠른 복귀를 위해 수술적 치료가 선택될 수 있습니다

♼ 예방법 및 관리
충분한 휴식과 적절한 투구량 조절.
정확한 투구 폼 교육 및 성장기 선수의 변화구 제한.
pitcher's elbow는 심각한 경우 인대 손상(내측측부인대 손상)이나 골절, 신경손상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치료,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형외과 > 소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eymour 골절(원위지골 성장판 골절) (35) | 2025.09.04 |
|---|---|
| 오스굿-슐라터병(Osgood-Schlatter Disease) (33) | 2025.08.31 |
| 소아 수부 선천성 기형 (36) | 2025.08.22 |
| 소아의 팔꿈치 아탈구( Pulled elbow ) (31) | 2025.08.21 |
| 일과성 고관절 활액막염 (Transient synovitis of the hip) (2)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