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6

가시, 유리 파편등 이물질(Foreign body) 수부의 이물질은 손의 피부, 연부조직, 건초, 골 및 관절 등에 외부에서 유입된 물체 또는 조직을 의미하며, 외상 상황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이물질의 원인과 종류외부 충격이나 작업 도중 손에 박히는 유리, 금속, 나무 조각, 플라스틱, 모래, 식물성 가시, 동물의 털 등이 대표적입니다.흔히 외부 환경에서 다양한 물질이 직접 침입하거나 절단, 관통상 시 함께 들어가게 됩니다. ♼ 임상적 특징통증, 발적, 종창, 이물감, 운동 제한이 동반되며, 감염이 진행될 경우 발열이나 화농성 분비물이 보일 수 있습니다.육안 또는 촉진으로 만질 수 있는 경우도 많으나, 깊이 침투한 경우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진단 방법단순 X-ray로 금속, 유리 등 고밀도 이물질은 대부분 확인 가능하며, 나무나 식물성 이물질.. 2025. 9. 21.
중둔근(엉덩이 근육, Gluteus medius) 중둔근은 골반 옆에 위치한 주요 근육으로, 하지의 움직임과 고관절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둔근의 주요 기능은 다리 벌림(외전)과 고관절의 회전, 그리고 특히 보행 시에 체중을 지지하지 않는 반대쪽 골반을 안정시키고 과도한 골반 기울기를 방지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중둔근은 걷거나 뛰는 동안 골반의 균형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중둔근 기능이 약화되면 보행 시 골반이 한쪽으로 처지는 트렌덴버그 증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중둔근과 관련된 주요 질환★ ♼ 중둔근 건염 (Gluteus Medius Tendinopathy)중둔근 힘줄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 또는 퇴행성 변화로, 고관절 측면 통증의 흔한 원인입니다. 주로 중둔근 힘줄 부착부에 통증이 집중되며, 보행 시 통증이나 하지 외.. 2025. 9. 20.
척추 협착증(spinal stenosis) 척추 협착증(Spinal Stenosis)은 척추 내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spinal canal)이 여러 원인으로 좁아져 허리, 엉치, 다리 등에 저림, 당김, 통증, 감각 장애 등 신경 증상을 일으키는 상태를 의미한다.요추, 경추 등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하지만, 가장 흔한 부위는 요추(허리), 즉 ‘요추관 협착증’이다.♼ 발생빈도 및 유병률2022년 약 177만 명, 2023년 약 182만 명 환자가 집계되며 해마다 꾸준히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2014년 128만 명에서 2023년 182만 명으로 9년간 약 40% 증가했으며, 65세 이상 환자가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유병률은 전체 인구의 1.7 ~ 8%로 추정되며, 고령화에 따라 증가 추세에 있다. ♼ 원인퇴행성 변화: 나이.. 2025. 9. 19.
교황의 축복의 손 : 전방골간신경 증후군(Anterior Interosseous Nerve Syndrome) 전방골간신경증후군(Anterior Interosseous Nerve Syndrome, AIN 증후군)은 정중신경(Median nerve)의 운동 신경 가지인 전방골간신경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신경은 감각지배는 없고, 엄지와 검지의 일부 근육 등 손가락 굴곡 운동에 관여하는 순수 운동 신경입니다. 손상 시 엄지와 검지를 집는 운동이 약화되고, 국소적인 전완부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운동신경의 손상으로 특징적인 benediction sign(교황의 축복의 손 or 설교자의 손) 이나 OK sign등이 나타납니다. ※흔히 알려진 손목 터널증후군은 감각이상, 저림등의 감각신경 손상이 주증상이고, AINS는 반대로 운동신경으로 인한 운동장해가 주요 증상임. ♼ 원인대부분은 원인 불명의.. 2025. 9. 18.
무릎 전방 십자인대 파열(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전방십자인대는 무릎 안쪽에 위치한 두 개의 교차된 인대 중 하나로, 대퇴골(허벅지뼈)과 경골(정강이뼈)을 연결하여 무릎의 앞뒤 방향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무릎 굴곡 30°와 90°에서 경골이 앞으로 이동하는 것을 주로 막아 무릎이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며, 무릎에서 가장 자주 손상되는 인대이다.♼ 발생빈도특히 축구, 농구, 배드민턴 같은 스포츠에서 급격한 방향 전환, 점프 후 착지 시 회전력 등에 의해 손상되며, 스포츠 손상 중 가장 빈도가 높은 부상이다.전체 무릎 부상 중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 ♼ 주요 원인무릎이 갑자기 뒤틀리거나 급정지, 방향 전환하는 동작 중 발생. 점프 후 착지 시 무릎이 꺾이거나 충격 받을 때. 운동 중 비틀림, 충돌, 넘어짐 등 외상.. 2025. 9. 17.
요골두 골절(요골머리 골절, radial head fracture) 요골머리 골절(요골두 골절)은 팔꿈치 부위 요골 상부, 특히 요골머리(요골두)에 발생하는 골절입니다. 주로 팔을 펴고 넘어지면서 손으로 땅을 짚을 때 생기며, 팔꿈치에서 가장 흔한 골절 중 하나입니다. 낙상이나 스포츠 활동 중에 많이 발생합니다.♼ 발생 기전팔을 펴고 손으로 땅을 짚으며 넘어질 때 발생이 많습니다.저에너지 손상으로 전위가 적은 안정 골절이 주로 나타나지만, 고에너지 손상(스포츠, 교통사고) 시 전위 심한 골절이나 분쇄골절, 주변 인대 손상, 다른 뼈의 골절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주요 증상팔꿈치의 통증과 부기 팔꿈치를 구부리거나 펼 때 통증과 움직임 제한(특히 외회전시 통증악화) 골절 부위에 압통(누르면 아픔) 팔꿈치 관절 내 출혈로 인한 부종 심한 경우 팔꿈치가 완전히 펴지지 않.. 2025. 9. 16.
견쇄인대손상(acroclavicular ligament injury) 견쇄 인대 파열은 어깨 부위의 견봉과 쇄골을 연결하는 인대가 파열되어 견쇄관절에서 쇄골 말단이 위로 탈구되는 손상이다. 이로 인해 어깨 윗부분의 통증 및 기능장애가 나타난다.(어깨 윗부분을 만졌을때 가장 돌출된 부분임)♼ 원인주로 넘어질 때 팔 또는 어깨로 바닥을 짚는 등의 외상으로 발생하며, 자전거 사고, 스포츠 활동 중 충격, 교통사고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분류견쇄 인대 파열은 파열 정도와 견쇄관절 탈구의 심각도에 따라 제1형부터 제6형까지 분류된다. ※참고 : 견쇄 인대 파열 분류 (Rockwood 분류법)Type I (1형) : 견쇄관절 염좌인대의 미세손상이나 염좌로 관절 간격은 정상이며, 견쇄관절의 안정성은 유지된다. 통증과 부종이 있으나 변위는 없다. 비수술적 치료가 원칙이다.Type.. 2025. 9. 15.
봉와직염(Cellulitis,연조직염) 봉와직염(연조직염)은 세균이 진피와 피하 조직을 침범하여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감염병이다. 주로 A군 용혈성 사슬알균과 황색 포도알균에 의해 발생하며, 피부에 홍반, 열감, 부종, 압통이 나타난다. 고령자, 당뇨병 환자, 면역 억제 환자, 말초혈관 질환 환자에서 발병 위험이 높다.♼ 원인봉와직염의 원인은 피부 장벽이 손상되어 세균이 침입하는 것에 있다. 무좀, 발가락 사이 짓무름, 궤양, 모낭염, 종기, 외상(찰과상, 상처), 곤충에 물린 자국 등이 세균 침입 경로가 된다. ♦야외 활동이나 운동 시: 등산, 산행 등 야외 활동 중 나뭇가지 등으로 인한 상처, 벌레 물림이 있을 때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여름철 땀이나 습기로 인해 피부가 약해진 상태에서는 세균 감염이 더 쉽게 발생한다.♦군대 환경: .. 2025. 9. 14.
평발(flat foot, pes planus, 편평족) 평발(flat foot, pes planus, 편평족)은 발바닥 안쪽 아치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지거나 소실되어 발바닥 전체 또는 상당 부분이 지면에 닿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 발은 발바닥의 안쪽에 아치가 있어 충격을 흡수하고 보행 시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평발은 이 아치가 없어져 발의 형태와 기능에 변형을 초래한다. 평발은 가장 흔한 발 변형 중 하나이며,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 원인대부분 원인 불명이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선천적 대사이상, 인대 이완성, 근육 약화, 비만, 성장기 과체중, 외상, 신경근 질환 등 여러 요인이 있다. 유연성 평발과 강직성 평발로 나뉘며, 체중 부하 시 아치가 무너지거나 항상 편평한 상태로 나타난다. ♼ 증상평발 환자 중 많은 사람은 별다른 증상이 없.. 2025. 9. 13.
뽀빠이 알통(Popeye deformity, biceps tendon ruputre) 뽀빠이 알통(Popeye deformity)은 상완이두근의 긴 힘줄(long head of biceps tendon)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특징적인 변형입니다. 힘줄이 끊어지면 상완이두근의 근육이 팔꿈치 쪽으로 말려 내려가면서 팔 윗부분에 둥글고 볼록한 근육 덩어리가 생기는데, 만화 캐릭터 ‘뽀빠이’의 근육질 전완부와 비슷하게 보여서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주요 원인상완이두근의 긴 머리 힘줄(long head of biceps tendon)이 부상, 과사용, 퇴행성 변화로 파열되면서 발생합니다.반복적인 팔 사용, 스포츠 부상, 낙상 등이 흔한 원인입니다.나이가 들면서 힘줄이 약해지고 마모되어 파열 위험이 증가합니다. 흡연, 스테로이드 사용, 류마티스 관절염 등도 위험 인자입니다. ♼ 발생빈도주로 50세.. 2025. 9. 12.
부주상골 증후군(Prehallux syndrome) 부주상골 증후군은 발 안쪽의 주상골 옆에 붙어 있는 추가 뼈인 부주상골이 정상적으로 유합되지 못한 상태로, 이로 인해 통증과 발목 염좌, 부종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부주상골은 5~15% 인구에서 선천적으로 나타나는 흔한 기형이며, 주로 성장기 청소년이나 소아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발목 부상 등 외상으로 인해 부주상골과 주상골 결합 부위가 분리되면서 후천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빈도전체 인구의 약 5~15% 정도에서 부주상골이 발견되며, 이 중 약 10% 내외에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주상골 증후군의 증상 발현은 주로 청소년기 이후 성장 급증기인 12~13세 경에 많이 나타나며, 10~30대 젊은 층에서 발병률이 높습니다 ♼ 관련 인자선천적 원인이 가장 많으며, 특정 부상이나 발.. 2025. 9. 11.
종아리 근육파열(장딴지 or 비복근파열) 종아리 근육 파열(비복근 및 가자미근)은 운동이나 갑작스러운 움직임 등으로 인해 종아리 근육이 찢어지는 부상을 의미합니다. 종아리 뒤쪽으로 극심한 통증과 함께 ‘뚝’ 하는 파열음이 들리기도 하며, 부위에 따라 붓기와 멍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격한 운동이나 준비 운동 부족, 추운 날씨에서 스트레칭 없이 움직일 때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평소 운동량이 적거나, 일상에서 갑자기 빨리 걷거나 점프할 때도 생길 수 있습니다.♼ 증상급격한 통증과 함께 종아리에 '뚝' 또는 찢어지는 느낌이 듭니다. 부상 부위가 붓고, 피멍이 들거나, 손상 부위에 피가 고일 수 있습니다. 움직임이 매우 어렵고, 걸으면 절뚝거리거나 누가 뒤에서 세게 찬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시간이 지난 후에도 통증과 기능 저하가 지속.. 2025. 9. 10.
Pitcher's elbow(야구 엘보, 리틀 리그 엘보) pitcher's elbow는 반복적인 투구 동작에서 발생하는 팔꿈치의 내측 통증 및 염증 상태로, 주로 야구 투수처럼 오버헤드 스로잉을 자주 하는 선수들에게 나타납니다.♼ 주요 정의 및 원인pitcher's elbow, 또는 'medial epicondyle apophysitis', 'little leaguer’s elbow'라고도 불리며, 팔꿈치 안쪽의 뼈 돌기(내측상과)가 반복적이고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아 염증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이 부위는 손가락과 손목을 움직이는 근육의 힘줄이 부착된 곳으로, 투구 동작을 반복하면 힘줄 및 성장판에 미세손상이 누적되어 발생합니다.♼ 증상팔꿈치 안쪽 통증 및 부기 : 투구 시 또는 투구 후에 통증이 나타나며, 염증이 심할 경우 부기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2025. 9. 9.
어깨 충돌 증후군(impingement syndrome) 어깨 충돌 증후군은 어깨 관절에서 견봉(어깨뼈의 돌출 부위)과 회전근개(어깨 힘줄)의 사이 공간이 좁아지면서 이 힘줄들이 움직일 때마다 견봉과 충돌하여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노화, 퇴행성 변화, 외상, 그리고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반복적인 동작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참을 수 있는 정도의 통증으로 시작하지만 방치하면 회전근개 파열까지 이어질 수 있어 초기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주요 원인♦어깨 관절 부위인 견봉과 회전근개의 공간이 좁아지면서 힘줄이 반복적으로 충돌하는 경우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선천적인 견봉 뼈의 형태 이상어깨 부위의 외상이나 물리적 충격팔을 높이 들어 반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작업이나 스포츠(교사, 과수원 농부,인테리어, 골프, 수영, 테니.. 2025. 9. 8.
발목 충돌 증후군 (ankle impingement syndrome) 발목 충돌증후군이란 발목 관절 안이나 주변에서 뼈나 연부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거나 손상되어 발목 움직임 시 서로 부딪히면서 통증과 기능 제한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주요 원인은 반복된 발목의 미세 손상이나 급성 외상, 특히 발목 염좌 후 손상된 인대 주변에 섬유화나 골극(뼈 돌기)이 자라나면서 충돌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발목 앞쪽(전방), 뒤쪽(후방), 또는 전외측 부위에서 통증과 부종,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종류전방(Anterior) 충돌증후군: 발목 앞쪽 전외방(Anterolateral) 충돌증후군: 발목 앞‐바깥쪽 전내방(Anteromedial) 충돌증후군: 발목 앞‐안쪽 후방(Posterior) 충돌증후군: 발목 뒤쪽 후내방(Posteromedial) 충돌증후군:.. 2025. 9. 7.
반월상 연골판 파열(meniscus injury)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 관절 내에 위치한 반달 모양의 연골로, 무릎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무릎 관절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연골이 찢어지거나 손상된 상태를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라고 합니다.♼ 원인외상에 의한 손상: 운동 중 방향 전환이나 무릎에 비틀림, 충격이 가해질 때 발생합니다. 축구, 농구 등 과격한 운동에서 흔합니다. 퇴행성 변화: 나이가 들면서 연골이 약해져 작은 압력에도 손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무릎을 많이 구부리는 자세, 쪼그려 앉는 행동 등이 진행성 손상을 촉진합니다. 내측 연골판과 외측 연골판 중 내측 연골판 파열이 더 흔합니다.♼ 증상무릎 통증과 부기 무릎을 완전히 펴거나 굽히기 어려움 무릎에서 '뚝' 소리나 느낌 무릎이 잠기는 증상(잠김 현상) 관절 불안정감 및 걷기 .. 2025. 9. 6.
허니문 마비(honeymoon palsy,saturday night palsy) honeymoon palsy는 요골신경(radial nerve)이 팔꿈치 근처 상완골 나선형 홈(spiral groove) 부위에서 압박되어 발생하는 신경 마비입니다. 종종 밤새 팔을 장시간 압박하는 자세로 자면서 발생하며, 특히 신혼부부가 팔베개를 오래 해주다가 생길 수 있어 이름이 붙었습니다. 비슷한 증상으로 "Saturday night palsy"(토요일 밤 마비)라고도 불립니다.♼ 원인 팔을 오랜 시간 동안 눌리거나 압박당할 때 발생합니다. 주로 의자 팔걸이 등에 팔을 걸친 채 잘 때나 술에 취해 무의식적으로 팔이 눌릴 때 나타납니다. 신경이 상완골 나선형 홈 부위에서 눌리면서 신경 기능이 저하됩니다.♼ 증상손목이 떨어져서 들어올리지 못하는 손목처짐(wrist drop) 증상 손등 및 팔 뒤쪽 감.. 2025. 9. 5.
Seymour 골절(원위지골 성장판 골절) Seymour 골절(원위지골 성장판 골절)은 주로 소아나 청소년에서 발생하는 원위지골(distal phalanx)의 성장판 부위에서 발생하는 골절로, 손톱 밑 조직(nail bed) 손상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보통 문에 손가락이 끼이는 등 압착 손상으로 발생하며, 골절 부위가 성장판을 침범하는 형태입니다.※1966년에 의사 Seymour에 의해 처음 기술된 골절입니다.♼ 특징주로 손가락 끝이 다치면서 발생하는 개방성 골절(open fracture)입니다. 피부가 손상되어 골절 부위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어 감염 위험이 높습니다. 골절과 동시에 손톱 밑의 연부 조직이나 손톱 뿌리(조갑기)의 손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원인손가락 끝을 문이나 물건에 끼는 사고, 손가락 끝을 세게 부딪히는 외상 등.. 2025. 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