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 비구 충돌증후군(Femoroacetabular Impingement, FAI)은 고관절(엉덩이 관절)을 이루는 대퇴골(넓적다리뼈)과 비구(골반의 소켓 부분) 사이에 구조적 이상이 생겨 서로 충돌하면서 통증과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이 충돌이 반복되면 관절 내 연골이나 비구순(관절순) 등 연부조직이 손상되고, 장기적으로는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원인 및 기전
고관절(엉덩이 관절)의 정상 운동 범위를 넘는 과격한 운동이나 체조, 반복적인 굴곡과 내회전이 많이 요구되는 운동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운동이나 동작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체조, 무용, 발레 등 고관절의 유연성과 극단적인 움직임이 반복되는 스포츠
☛ 축구, 농구, 럭비 등 방향 전환과 점프, 빠른 움직임이 많은 구기 종목
☛ 필라테스, 요가 등 고관절을 깊게 굽히거나 비틀어야 하는 동작이 많은 운동
☛ 쪼그려 앉기, 양반다리, 깊은 스쿼트 등 고관절을 과도하게 굽히는 일상적 자세나 습관
이러한 운동이나 동작에서 고관절의 굴곡(hip flexion)과 내회전(internal rotation)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대퇴골두와 비구(고관절을 이루는 뼈 구조) 사이에 비정상적인 마찰이 발생하여 연골이나 관절순(비구순)에 손상을 유발하게 됩니다. 특히, 젊고 활동적인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운동량이 많거나 잘못된 자세로 반복되는 경우 위험이 커집니다.
☪ 주요 증상
서혜부(사타구니) 통증이 가장 흔하며, 허벅지 앞쪽이나 엉덩이, 허리까지 통증이 퍼질 수 있습니다.
쪼그려 앉기, 양반다리, 고관절을 많이 구부리는 동작, 계단 오르내리기, 방향 전환, 스트레칭 등에서 통증이 심해집니다.
절뚝거림, 관절의 뻣뻣함, 특정 동작 시 찝힘 느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진행되면 일상생활이나 운동 시 불편함이 커지고,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퇴행성 관절염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진단
문진과 신체검진이 기본이며, X-ray로 대퇴골과 비구의 형태 이상을 확인합니다.
필요시 MRI, 관절조영술 등으로 연부조직 손상(비구순 파열, 연골 손상) 여부를 평가합니다.
☪ 치료
1. 비수술적(보존적) 치료
대부분의 대퇴비구 충돌 증후군 환자는 먼저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며, 초기 증상이나 경미한 경우에 효과적입니다.
☛ 활동 및 자세 조절
통증을 유발하는 동작, 과격한 운동, 반복적인 고관절 굴곡·내회전 동작을 피하고, 증상이 완화될 때까지 무리한 활동을 삼갑니다.
☛ 약물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예: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으로 통증과 염증을 완화합니다.
☛ 물리치료 및 체외충격파
고관절 유연성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스트레칭, 근력운동, 자세 교정, 운동 범위 회복 운동을 시행합니다. 전문 물리치료사의 지도하에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주사치료
증상이 심하거나 약물·물리치료에 반응이 부족할 때, 고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를 시행해 염증과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생활습관 교정
쪼그려 앉기, 양반다리, 깊은 스쿼트 등 고관절에 부담을 주는 자세를 피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2. 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3~6개월)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관절순(비구순) 파열, 연골 손상 등 구조적 문제가 동반된 경우 수술을 고려합니다.
☛ 관절경 수술(고관절 내시경)
피부에 작은 구멍을 내어 카메라와 특수 기구를 삽입, 손상된 비구순(관절순) 봉합 또는 절제, 돌출된 뼈(골성 병변) 다듬기 등 최소침습적으로 시행합니다. 회복이 빠르고 흉터가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 관혈적(개방) 수술
구조적 변형이 심하거나 관절경으로 교정이 어려운 경우, 절개를 통해 직접 뼈와 연골을 교정하는 방식입니다. 보다 확실한 교정이 가능하지만, 회복기간이 길고 흉터가 남을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재활
수술 후에는 물리치료와 재활운동을 통해 근력 회복, 관절 가동 범위 증진, 일상생활 복귀를 돕습니다.
3. 예후 및 주의사항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많은 환자가 증상 개선을 경험합니다.
수술적 치료의 성공률은 높으며, 대부분 일상생활 및 스포츠 복귀가 가능합니다.
치료 후에도 고관절에 무리한 동작은 피하고, 꾸준한 스트레칭과 근력운동이 중요합니다.
⚑요약
대퇴 비구 충돌증후군은 고관절의 구조적 이상 또는 반복적 과사용으로 인해 관절 내 충돌이 발생, 통증과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증상이 심하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 고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둔근(엉덩이 근육, Gluteus medius) (9) | 2025.09.20 |
---|---|
노인의 고관절 주변 골절(대퇴골 경부 및 전자간 골절) (45) | 2025.08.25 |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42) | 2025.08.20 |
이상근증후군(좌골신경포착증후군, Piriformis Syndrome) (3) | 2025.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