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형외과/고관절

중둔근(엉덩이 근육, Gluteus medius)

by 파트라송 2025. 9. 20.
728x90
반응형

중둔근은 골반 옆에 위치한 주요 근육으로, 하지의 움직임과 고관절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둔근의 주요 기능은 다리 벌림(외전)과 고관절의 회전, 그리고 특히 보행 시에 체중을 지지하지 않는 반대쪽 골반을 안정시키고 과도한 골반 기울기를 방지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중둔근은 걷거나 뛰는 동안 골반의 균형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중둔근 기능이 약화되면 보행 시 골반이 한쪽으로 처지는 트렌덴버그 증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둔근과 관련된 주요 질환

 

중둔근 건염 (Gluteus Medius Tendinopathy)

중둔근 힘줄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 또는 퇴행성 변화로, 고관절 측면 통증의 흔한 원인입니다. 주로 중둔근 힘줄 부착부에 통증이 집중되며, 보행 시 통증이나 하지 외전 시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트렌덴버그 징후 (Trendelenburg Sign)

중둔근이 약화되거나 신경 손상으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보행 시 체중 반대편 골반이 하강하면서 골반의 비대칭이 나타나고, 불안정한 보행을 초래합니다.

♼ 대전자부 통증 증후군 (greater trochanteric pain syndrome)

중둔근과 관련된 힘줄염, 윤활낭염, 또는 힘줄의 마찰로 인한 통증 증후군으로, 고관절 외측에 국한된 통증과 압통이 특징입니다.

신경 압박 및 좌골신경통

중둔근 주변의 근육 긴장이나 염증이 좌골신경을 압박해 좌골신경통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중둔근 경직 시 방사통과 하지 저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둔근 약화로 인한 요통 및 골반 불균형

중둔근이 약해지면 골반 안정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척추 및 골반 부위에 비정상적인 부하가 가해져 요통이나 자세 불균형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낙상과 관련된 기능 저하

중둔근 약화는 노인에서 보행 불안정과 낙상 위험 증가로 이어져, 중둔근 기능 유지 및 강화가 낙상 예방에 중요합니다.

반응형
300x250

 중둔근 강화 운동

옆으로 누워 다리 들어올리기(Lateral Leg Raise): 옆으로 누워 아래쪽 다리는 구부리고 위쪽 다리를 곧게 들어올립니다.

싱글 레그 스쿼트(Single Leg Squat): 한 다리로 스쿼트를 하여 골반 안정과 중둔근 자극.

사이드 브리지(Side Bridge/Plank): 옆으로 누워 팔꿈치와 무릎으로 몸을 지지하여 골반을 들어올립니다.

싱글 레그 데드리프트(Single Leg Deadlift): 한쪽 다리로 균형을 잡으며 상체를 앞으로 숙이고, 반대쪽 다리는 뒤로 들어줍니다.

골반 방울(Pelvic Drop): 낮은 계단 등에 한 발을 놓고 나머지 다리가 바닥에 닿을 듯 골반을 내렸다가 올리기 운동.

 

이외에도 중둔근을 활성화하고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스트레칭과 균형감각 개선 동작도 유용합니다. 운동 시에는 골반을 수평으로 유지하며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운동 반복 횟수는 보통 3세트, 10~15회 권장됩니다.

 

⚑  중둔근은 자세 안정, 균형 유지, 정상적인 보행 및 하체 기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근력이 약화되면 여러 통증과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어 재활 및 운동 치료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300x25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