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측경골 스트레스 증후군 Medial tibial stress syndrome (MTSS), 흔히 "shin splints(정강이 통증)"로 불리는 질환은 운동 시 정강이뼈(경골, tibia)의 안쪽(내측)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과사용 손상입니다. 주로 달리기, 점프, 갑작스러운 운동량 증가 등 반복적이고 강도가 높은 하체 활동을 하는 운동선수나 활동적인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 원인 및 병태생리
과도한 반복적 부하가 경골과 그 주변 근육, 힘줄, 뼈막(골막)에 미세 손상을 일으키며, 이 손상이 충분히 회복되지 못하면 염증과 통증이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에는 갑작스러운 운동량 증가, 잘못된 운동화, 단단하거나 경사진 지면에서의 운동, 발의 정렬 이상(예: 평발), 근력 및 유연성 부족 등이 있습니다.
병리학적으로는 경골 내측의 뼈막염(periostitis), 근육과 힘줄의 반복적 견인, 또는 뼈 자체의 미세골절(stress reaction)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증상
정강이뼈 안쪽(내측) 중간~하단 1/3 부위에 국소적 통증이 나타나며, 초기에는 운동 시작 시 통증이 있다가 점차 사라지기도 하지만, 심해지면 운동 중·후에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부종이나 압통이 동반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일상생활에서도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골절과 구분이 필요합니다. MTSS는 X-ray상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필요시 MRI나 뼈스캔 등으로 감별합니다.

⚫ 치료 및 예방법
휴식(Rest): 가장 중요한 치료법으로, 통증이 사라질 때까지 운동을 중단하거나 저강도 활동으로 대체합니다.
냉찜질(Ice): 통증과 부종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압박(Compression), 거상(Elevation): 부종이 있을 때 도움이 됩니다.
진통소염제: 필요시 사용합니다.
물리치료: 종아리 근육 스트레칭 및 강화 운동, 발의 정렬 교정(필요시 깔창/보조기구) 등이 도움이 됩니다.


최근 체외충격파 치료등에 좋은 효과를 기대해볼수 있습니다.

운동 습관 개선: 점진적 운동량 증가, 적절한 신발 착용, 단단한 표면 피하기 등으로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수술: 극히 드물게,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중증의 경우 시행될 수 있습니다.
☪ 요약
MTSS는 운동 과사용으로 인한 경골 내측 통증 증후군으로, 대부분 보존적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으로 호전됩니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스트레스 골절 등 다른 질환과의 감별 및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정형외과 > 무릎 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무릎 연골 연화증(Chondromalacia) (67) | 2025.08.19 | 
|---|---|
| 무릎 관절 삼출액 (Knee joint effusion) (33) | 2025.08.15 | 
| 무릎뼈 힘줄염(슬개건염, Patellar tendintis, Jumper's knee) (10) | 2025.08.05 | 
| 베이커씨 낭종 (5) | 2025.07.22 | 
| 무릎 퇴행성 관절염 (4) | 2025.06.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