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치형 손가락(Mallet finger, 추지, 망치수지)은 손가락 끝마디 관절(원위지간관절, DIP joint)이 갑자기 강한 힘을 받으면서 손가락을 펴는 힘줄(신전건)이 끊어지거나, 그 부위의 뼈가 부러져 발생하는 변형입니다. 이로 인해 손가락 끝마디가 구부러진 채 자신의 힘으로는 펴지지 않고, 다른 손으로 펴면 쉽게 펴지는 특징을 보입니다.

♼ 원인
♦ 운동 중 부상: 야구, 농구 등에서 공에 손가락 끝이 직접 맞아 강하게 꺾일 때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 일상 생활 중 외상: 손가락 끝에 무거운 물건이 떨어지거나, 문에 손가락이 끼이거나, 옷이나 이불을 세게 잡아당기다 손가락 끝이 갑자기 꺾일 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리한 물체에 의한 손상: 칼, 유리 등 날카로운 물체에 손가락 등쪽이 베이면서 힘줄이 끊어질 수 있습니다.

♦ 직업적·반복적 사용: 손가락을 많이 쓰는 직업이나 스포츠 활동에서 반복적으로 작은 외상이 누적되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종류
건성 추지 신전건만 끊어진 경우. 뼈에는 이상이 없음.
골성 추지 신전건이 붙는 부위의 뼈(원위지골)가 함께 부러진 경우.

♼ 증상
손가락 끝마디 관절이 구부러진 채 펴지지 않음

통증과 붓기가 동반될 수 있음
손가락을 스스로 펴지 못하고, 다른 손으로는 쉽게 펴짐
♼ 치료
1. 비수술적 치료(보존적 치료)
적용 대상: 힘줄만 끊어진 건성 추지, 골절이 크지 않은 골성 추지, 급성 손상 및 변형이 심하지 않은 경우
치료 방법:
부목(스플린트) 고정: 손가락 끝마디(원위지간관절, DIP joint)를 약간 뒤로 젖힌 상태로 부목을 대어 6~12주간 고정.
고정 기간: 6~12주 동안 24시간 내내 부목을 착용해야 하며, 중간에 부목을 빼거나 손가락을 구부리면 재손상 위험이 높음.
부목 관리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부목을 손가락 끝에 맞게 고정하고, 반창고 등으로 단단히 고정.
중간마디(근위지관절, PIP joint)는 자유롭게 움직여야 하며, 끝마디만 고정하는 것이 중요.


장점: 대부분의 환자에서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정상 기능 회복 가능.
주의사항: 치료 중 부목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거나, 고정 기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변형이 남을 수 있음.
2. 수술적 치료
적용 대상:
☛골성 추지(뼈가 부러진 경우)에서 골절 조각이 크거나, 관절면 손상이 심한 경우
☛오래 방치되어 변형이 심한 건성 추지
☛부목 고정이 불가능하거나, 반복적으로 실패한 경우.
치료 방법:
♦핀 고정술: 손가락 끝마디를 바른 위치로 맞춘 후, 금속 핀(와이어)을 관절에 삽입해 6~8주간 고정.(상태에 따라 다양한방법)

♦건 봉합술: 힘줄이 끊어진 부위가 외상 등으로 노출된 경우, 직접 봉합 수술 시행.

수술 후 관리: 입원 3~4일, 2주 후 실밥 제거, 6~8주 후 핀 제거.
장점: 변형이 심하거나 골절이 큰 경우에도 정상에 가까운 손가락 기능 회복 가능.
3. 재활 및 회복
재활운동: 고정이 끝난 뒤에는 손가락을 접었다 펴는 운동 등으로 관절의 유연성과 힘을 회복.
초기 재활: 너무 오래 고정하면 관절이 굳을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점진적으로 관절 운동 시작.
일상 복귀: 대부분의 경우 2~3개월 내 일상생활 가능. 심한 경우는 더 긴 재활이 필요할 수 있음.
♼ 합병증 및 주의사항
치료가 늦거나 제대로 되지 않으면 손가락 끝마디가 굽은 채로 굳거나, 중간마디가 과신전되는 백조목 변형이 생길 수 있음.

초기에는 단순히 '삐었다'고 생각해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많으나,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 망치형 손가락은 손가락 끝을 펴는 힘줄이나 그 부위의 뼈가 다쳐 손가락 끝마디가 구부러진 채 펴지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빠른 치료가 중요하며, 대부분은 부목 고정으로 치료하지만,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 수부 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손가락 내연골종 (5) | 2025.08.03 |
|---|---|
| 손가락 점액낭종(digital mucous cyst) (5) | 2025.07.26 |
| 듀피트렌 구축 (Dupuytren contracture) (3) | 2025.07.20 |
| 사구체종이란? (7) | 2025.07.16 |
| 드퀘르벵병 (4) | 202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