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키퍼 무지(Gamekeeper's thumb) 또는 스키어 엄지(Skier's thumb)는 엄지손가락의 중수지관절(MCP joint, 손바닥 쪽 첫 번째 관절)에 있는 척측측부인대(Ulnar Collateral Ligament, UCL)가 손상되는 질환입니다.
gamekeeper란 '사냥터지기', 즉 주로 영국 등지에서 땅 주인이나 영주의 사유지에서 사냥감(야생 동물이나 새)을 관리하고 보호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이들은 밀렵꾼을 감시하고, 사냥감을 기르고, 불법 사냥을 막는 등의 일을 합니다.
♼ 원인
만성적 반복 손상: 오랜 시간 엄지에 반복적으로 스트레스를 주는 동작(동물 목 비틀기 등)
급성 외상: 특히 스키어처럼 넘어지면서 엄지가 과도하게 벌어져 MCP 관절의 척측측부인대에 강한 측부 외력이 가해질 때(예: 스키 폴을 잡고 넘어질 때 Skier’s thumb) 발생
일상에서는 넘어지며 바닥을 짚을 때, 스포츠 활동 중 엄지를 심하게 벌릴 때 등 다양한 상황에서 급성 손상이 가능
♼ 손상 부위 및 기전
대부분 엄지의 첫 관절(MCP joint)에 외력이 가해져, 손바닥 쪽 관절의 안쪽(UCL 부위)에 손상이 발생합니다. 인대가 늘어나거나, 부분 또는 완전 파열될 수 있습니다.
♼ 증상
엄지손가락 기저부(손바닥과 연결된 부위)의 통증과 부종
힘 약화, 불안정감(특히 엄지와 검지로 집거나 물건을 잡기 힘듦)
움직일 때 심한 통증, 특히 엄지를 바깥쪽으로 벌릴 때 통증
심한 경우, 인대가 파열되어 피부 아래 덩어리처럼 만져지는 "Stener 병변"이 동반되기도 함.
♼ 진단
신체 검사에서 통증, 부종, 관절의 불안정성 확인.
X-ray로 뼈 골절 확인, MRI나 초음파로 인대 손상 정도 평가.
♼ 치료
1. 보존적 치료(비수술적)
♦ 적응증: 인대가 늘어났거나 부분 파열이며 관절이 불안정하지 않은 경우.
♦ 방법:
엄지 부목/손목-엄지 고정 보조기(thumb spica splint) 착용: 4~6주 정도
냉찜질, 진통제/소염제(NASIDs)
손 사용 제한, 엄지에 힘이 가는 활동 피하기
치료 후 점진적 재활 운동(관절 운동, 엄지 힘 강화 운동 등)
♦ 예후: 대부분 6~8주 내에 통증 및 기능 정상 회복
2. 수술적 치료
♦ 적응증: 완전 파열, 인대 단열로 관절 불안정이 뚜렷한 경우, Stener 병변(인대가 근막 아래로 말려 들어가 자연 치유가 어려운 상태), 보존적 치료 실패 시
♦ 방법: 파열 인대 봉합/재건술
동반된 뼈조각(avulsion fracture)가 크면 뼈 고정술 병행
수술 후 4~6주간 부목/보조기 고정 → 점진적 재활
♦ 예후: 적절히 치료하면 기능 회복 가능, 치료 지연 시 만성 불안정, 관절 변형, 힘 약화가 남을 수 있음
3. 재활 및 예후
점진적 관절운동/근력운동: 엄지 기능 회복, 관절 구축 예방
손상 방지: 향후 스포츠, 작업시 엄지 보호대 권고
⚑게임키퍼 무지(Gamekeeper's thumb)는 원래 만성 과사용 부상, 스키어 엄지(Skier's thumb)는 급성 외상성 인대 손상을 의미하지만, 현재 임상에서는 거의 같은 의미로 혼용되어 쓰입니다.
손상을 방치하면 엄지의 힘이 약해지고 만성 불안정, 관절염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정형외과 > 수부 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목 돌기 증후군 (carpal boss syndrome) (41) | 2025.08.30 |
---|---|
복서 골절(Boxer's fracture) (18) | 2025.08.13 |
삼각섬유연골복합체(TFCC)손상 (11) | 2025.08.06 |
손가락 내연골종 (5) | 2025.08.03 |
손가락 점액낭종(digital mucous cyst) (5) | 202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