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형외과/수부 관절

손목 돌기 증후군 (carpal boss syndrome)

by 파트라송 2025. 8. 30.
728x90
반응형

Carpal boss syndrome(수근골융기증, 손목 돌기 증후군)은 손목 뒤쪽, 특히 두 번째와 세 번째 중수골 기저부가 수근골(carpal bone)과 만나는 부분에 딱딱한 뼈 돌출(단단하며 움직이지 않는 혹)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 돌기는 흔히 피부 아래에서 만져지며, 때로는 통증이나 기능 장애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

원인

정확한 발생 원인은 미상이나, 외상(손상), 반복적인 손목의 움직임(스포츠, 작업 등), 선천적 부골(Os styloideum)과 관련이 있습니다.

연령적으로는 주로 20~40세에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카팔 보싱(carpal bossing)골관절염과 관련이 없으며,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단독 질환입니다.

 

Os styloideum은 손목의 부골(accessory ossicle) 중 하나로, 주로 두 번째와 세 번째 중수골의 기저부 사이, 그리고 작은마름뼈(trapezoid)와 알머리뼈(capitate) 사이에 위치하는 작은 뼈 조각입니다. 일반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며, 정상 해부학적 변이로 간주됩니다.

증상

손목 뒤쪽에 단단하고 움직이지 않는 혹이 만져짐

 

대부분 통증은 없으나, 손목 움직임 시에 통증, 불편감, 압통이 있을 수 있음

 

손가락을 펼치는 힘줄(신전건)에 자극이 가해져 스냅 현상(건이 튀는 느낌)이 나타나기도 함

 

손목 운동 시 통증 또는 운동 제한이 있을 수 있음.

 

진단

신체 검진: 혹의 위치, 크기, 압통 여부 평가

 

영상의학 검사: X-ray, CT, MRI로 단단한 뼈 돌출 확인 및 감별

반응형
300x250

감별진단

Ganglion cyst(결절종): 관절에서 발생하는 액체가 찬 혹으로, boss와 달리 부드럽게 만져지고 움직임이 있을 수 있음

건초염, 골절, 종양(양성/악성) 및 다른 손목 부위의 연부조직 질환 등과 구별 필요.

 

치료

무증상일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 생활습관 개선 권장

 

통증이나 기능 장애 시

 

보존적 치료: 손목 보호대(고정), 진통 및 항염증제(NSAIDs), 물리치료, 충격파 치료

 

주사 치료: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효과 제한적)

 

수술적 치료: 뼈 돌출 부위(카팔 보스) 절제, 증상이 심하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

 

예후

대부분의 경우 증상 없이 경과하거나, 보존적 치료로 호전됩니다.

 

수술적 치료를 받을 경우 대부분 합병증 없이 통증이 해소. 드물게 복합성 국소 통증 증후군(CRPS)과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며, 신속한 치료로 대부분 회복됩니다.

 

재발하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일부에서는 반복 절제술이나 관절 유합술(arthrodesis)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손목 돌기 증후군은 손목 뒤쪽의 뼈 돌출로,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나 위험 없이 지내지만, 통증 등 증상이 있을 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증상, 진단, 치료 모두에서 감별진단이 중요하며, 대부분 경과가 양호합니다.

 

 

300x25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