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eymoon palsy는 요골신경(radial nerve)이 팔꿈치 근처 상완골 나선형 홈(spiral groove) 부위에서 압박되어 발생하는 신경 마비입니다. 종종 밤새 팔을 장시간 압박하는 자세로 자면서 발생하며, 특히 신혼부부가 팔베개를 오래 해주다가 생길 수 있어 이름이 붙었습니다. 비슷한 증상으로 "Saturday night palsy"(토요일 밤 마비)라고도 불립니다.


♼ 원인
팔을 오랜 시간 동안 눌리거나 압박당할 때 발생합니다.
주로 의자 팔걸이 등에 팔을 걸친 채 잘 때나 술에 취해 무의식적으로 팔이 눌릴 때 나타납니다.
신경이 상완골 나선형 홈 부위에서 눌리면서 신경 기능이 저하됩니다.



♼ 증상
손목이 떨어져서 들어올리지 못하는 손목처짐(wrist drop) 증상
손등 및 팔 뒤쪽 감각 저하 또는 무감각
팔과 손가락 일부 근육의 힘이 약해지거나 마비 느낌
신경 압박 부위에 따라 감각 이상이 나타납니다.


♼ 진단
임상 증상(손목처짐, 감각저하) 및 환자의 자세력력 조사
신경전도 검사와 근전도 검사(EMG)를 통해 요골신경 기능의 손상 여부 및 정도 확인

원인을 제외하기 위해 필요할 경우 영상 검사(MRI 등) 시행

♼ 치료
1. 보조기 착용 (Brace or Splint)
손목 처짐을 막기 위해 손목과 손을 받쳐주는 보조기나 스플린트를 착용합니다.
보조기는 손목을 중립 위치에 고정하여 근육과 인대가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상 생활에서 손목 움직임을 지원합니다.

2. 물리치료 및 재활 운동 (Physical Therapy)
근력 회복과 관절 운동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재활 운동을 실시합니다.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 운동을 포함해, 손목 및 팔의 기능 회복을 돕습니다.

운동에는 팔의 가벼운 흔들기, 손목 굽히기, 폄 운동 등이 포함됩니다.
손상 부위의 관절 강직 예방과 기능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활동 조절 및 압박 방지
팔을 장시간 압박하는 자세, 예를 들어 의자 팔걸이에 팔을 올려놓고 자는 습관 등을 피하도록 교육합니다.
평소 올바른 자세 유지와 압박 방지를 통해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4. 약물 치료
통증이나 염증이 있을 경우 소염진통제(NSAIDs)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신경 회복을 돕는 비타민 B 복합제(예: 비타민 B1, B6, B12) 투여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신경 검사를 통한 경과 관찰
신경전도 검사(EMG) 등으로 신경 손상의 정도와 회복 상태를 모니터링합니다.
대개 발생 4~6주 후에 검사가 정확한 손상 정도를 보여줍니다.
6. 수술적 치료 (드물게 필요)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신경 손상이 심한 경우 신경 감압술이나 신경 재건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건 이식술(tendon transfer) 같은 재건 수술도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 예후
대부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 주에서 몇 개월 내에 자연 회복이 이루어집니다.
심한 신경 손상일 경우 4~6개월 이상 걸리기도 하며, 드물게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조기 치료와 적절한 관리를 하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honeymoon palsy는 요골신경의 압박성 마비로, 주로 장시간 팔이 눌릴 때 발생하여 손목처짐과 감각저하를 동반하며, 진단은 임상 및 신경검사로 하며 치료는 보조기 착용과 물리치료가 중심이고 예후는 대체로 양호합니다.
'정형외과 > 어깨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뽀빠이 알통(Popeye deformity, biceps tendon ruputre) (27) | 2025.09.12 |
|---|---|
| 어깨 충돌 증후군(impingement syndrome) (47) | 2025.09.08 |
| 어깨의 탈구 (29) | 2025.09.02 |
| 관절와순 파열(SLAP 병변) (41) | 2025.08.29 |
| 어깨 힘줄 파열(회전근개 파열) (53) | 2025.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