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위 요골 골절(Fracture of Distal Radius)은 팔의 두 뼈 중 하나인 요골(radius)의 손목 가까이(원위부)가 부러지는 손목 골절로, 상지(팔) 골절 중 가장 흔한 유형입니다. 일상적으로 "손목 골절"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주로 손을 짚고 넘어질 때 발생합니다. 특히 골다공증이 있는 65세 이상 여성이나, 인라인스케이트·스키·스노우보드 등 활동을 하는 젊은 층에서도 자주 발생합니다.
♼ 주요 원인
손을 짚은 상태에서 넘어질 때 손목에 큰 충격이 가해져 발생

골다공증(노인,폐경) 등으로 뼈가 약해진 경우 더 쉽게 골절

고에너지 외상(교통사고, 스포츠 손상 등)에서도 발생 가능

♼ 대표 증상
손목의 심한 통증과 붓기
골절 부위의 멍과 외관상 변형(특히 '포크 모양 변형', silver fork deformity)

손가락 움직임 장애, 저림, 감각 이상(신경 손상 동반 시)
심한 경우 뼈 조각이 어긋나거나 관절까지 침범
♼ 진단
X-ray(방사선 촬영)으로 대부분 진단 가능

관절 침범이나 복잡한 골절은 CT(컴퓨터 단층촬영) 필요할 수 있음

♼ 분류
콜레스 골절(Colles' fracture): 골절 부위가 손등 쪽으로 밀려나 포크 모양 변형이 나타남
스미스 골절(Smith's fracture): 골절 부위가 손바닥 쪽으로 꺾임
바톤 골절(Barton's fracture): 관절면 일부가 골절되어 아탈구 또는 탈구 동반

♼ 치료
보존적 치료(석고 고정): 뼈의 어긋남이 심하지 않은 경우 약 5주간 석고로 고정

수술적 치료: 골절이 심하거나 부정 유합, 관절 침범, 뼈 조각이 많이 어긋난 경우 금속판·나사 등으로 고정

잠김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예
치료 후 재활: 손가락 및 손목 운동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관절 경직, 근력 저하, 합병증 예방이 중요
♼ 합병증 및 주의점
신경 손상(특히 정중신경): 저림, 감각 저하, 수근관증후군 등 발생 가능
부정 유합, 불유합, 관절 운동 제한, 골관절염 등
골다공증이 동반된 경우 다른 부위 골절 예방 위해 추가 검사 및 치료 필요
요약
원위 요골 골절은 손목을 짚고 넘어질 때 흔히 발생하는 골절로, 통증·붓기·변형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X-ray로 진단하며, 골절의 상태에 따라 석고 고정이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치료 후에는 손가락과 손목의 재활 운동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형외과 > 수부 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볼러스엄지(볼링선수 엄지 신경병증) (5) | 2025.07.10 |
|---|---|
| 시상대 파열( sagittal band rupture) (2) | 2025.07.09 |
| 손목 터널 증후군(수근관증후군) (1) | 2025.07.06 |
| 방아쇠 손가락 (1) | 2025.07.05 |
| 발작성 손가락 혈종(Achenbach syndrome) (1)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