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형외과/수부 관절

손목 골절

by 파트라송 2025. 7. 7.
728x90
반응형

원위 요골 골절(Fracture of Distal Radius)은 팔의 두 뼈 중 하나인 요골(radius)의 손목 가까이(원위부)가 부러지는 손목 골절로, 상지(팔) 골절 중 가장 흔한 유형입니다. 일상적으로 "손목 골절"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주로 손을 짚고 넘어질 때 발생합니다. 특히 골다공증이 있는 65세 이상 여성이나, 인라인스케이트·스키·스노우보드 등 활동을 하는 젊은 층에서도 자주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

 

손을 짚은 상태에서 넘어질 때 손목에 큰 충격이 가해져 발생

 

골다공증(노인,폐경) 등으로 뼈가 약해진 경우 더 쉽게 골절

고에너지 외상(교통사고, 스포츠 손상 등)에서도 발생 가능

 

대표 증상

 

손목의 심한 통증과 붓기

 

골절 부위의 멍과 외관상 변형(특히 '포크 모양 변형', silver fork deformity)

포크 모양 변형

 

손가락 움직임 장애, 저림, 감각 이상(신경 손상 동반 시)

 

심한 경우 뼈 조각이 어긋나거나 관절까지 침범

 

진단

 

X-ray(방사선 촬영)으로 대부분 진단 가능

 

관절 침범이나 복잡한 골절은 CT(컴퓨터 단층촬영) 필요할 수 있음

3D CT image

 

분류

 

콜레스 골절(Colles' fracture): 골절 부위가 손등 쪽으로 밀려나 포크 모양 변형이 나타남

 

스미스 골절(Smith's fracture): 골절 부위가 손바닥 쪽으로 꺾임

 

바톤 골절(Barton's fracture): 관절면 일부가 골절되어 아탈구 또는 탈구 동반

 

반응형
300x250

치료

 

보존적 치료(석고 고정): 뼈의 어긋남이 심하지 않은 경우 약 5주간 석고로 고정

 

 

수술적 치료: 골절이 심하거나 부정 유합, 관절 침범, 뼈 조각이 많이 어긋난 경우 금속판·나사 등으로 고정

                                                                     잠김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예

 

 

치료 후 재활: 손가락 및 손목 운동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관절 경직, 근력 저하, 합병증 예방이 중요

 

합병증 및 주의점

 

신경 손상(특히 정중신경): 저림, 감각 저하, 수근관증후군 등 발생 가능

 

부정 유합, 불유합, 관절 운동 제한, 골관절염 등

 

골다공증이 동반된 경우 다른 부위 골절 예방 위해 추가 검사 및 치료 필요

 

요약

원위 요골 골절은 손목을 짚고 넘어질 때 흔히 발생하는 골절로, 통증·붓기·변형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X-ray로 진단하며, 골절의 상태에 따라 석고 고정이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치료 후에는 손가락과 손목의 재활 운동이 매우 중요합니다.

300x25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