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형외과/수부 관절

방아쇠 손가락

by 파트라송 2025. 7. 5.
728x90
반응형

**방아쇠 손가락(Trigger Finger, 방아쇠 수지)**는 손가락을 구부리는 힘줄(굴곡건)이나 힘줄을 감싸는 막(건막, 힘줄집)에 염증이 생겨,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펼 때 '딸깍' 소리와 함께 걸리는 듯한 현상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증상 때문에 마치 총의 방아쇠를 당겼다 놓는 것처럼 손가락이 갑자기 튀듯이 펴지거나, 심한 경우 손가락이 구부러진 채로 고정되기도 합니다.

 

주요 원인

 

반복적 손 사용: 손잡이 달린 도구, 운전대, 드릴,운동(골프,테니스) 등 반복적으로 손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염증 및 결절: 힘줄이나 힘줄집에 염증이 생기거나, 결절()이 형성되어 힘줄이 원활하게 움직이지 못하고 걸리게 됩니다.

 

기저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당뇨병 등과 연관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연령 및 성별: 주로 40세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며, 손가락 중 3, 4번째 손가락에 흔합니다.

 

대표 증상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펼 때 '딸깍'거리는 마찰음과 함께 저항감이 느껴짐

 

손가락이 잘 펴지지 않거나, 구부러진 상태로 고정됨

 

손바닥과 손가락이 만나는 부위(관절 부위)에 통증 및 부종 발생

 

아침에 손이 뻣뻣하거나 경직되는 느낌

 

증상이 심해지면 손가락 운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음.

 

진단 및 치료

 

진단

환자의 증상과 손가락, 손바닥 부위의 촉진을 통해 진단합니다.

x-ray 및 초음파,  MRI등의 영상검사를 통해 확진합니다.

좌:초음파상 둥근형태의 힘줄주변으로 검은띠의 염증조직이 채워져 있음. 우:MRI

 

비수술적 치료: 증상이 경미할 경우 소염진통제, 휴식, 물리치료, 스테로이드 주사 등으로 염증과 통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증상이 심하거나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힘줄이 지나가는 통로(활차, pulley)를 절개해 힘줄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대부분 부분마취로 간단하게 진행됩니다.

예방 및 주의사항

 

반복적이고 강한 손 사용을 줄이고, 손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휴식과 스트레칭을 병행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조기에 전문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아쇠 손가락은 손에서 매우 흔한 질환이며, 대부분 치료가 잘 되는 편입니다. 증상이 있을 때는 무리한 손 사용을 피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300x25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