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형외과/수부 관절

시상대 파열( sagittal band rupture)

by 파트라송 2025. 7. 9.
728x90
반응형

시상대 파열(sagittal band rupture)은 손가락의 중수지절 관절에서 신전건(extensor tendon)을 정중앙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시상대(sagittal band)가 파열되어 신전건의 불안정, 아탈구 또는 완전 탈구가 발생하는 손 부상입니다.

 

좌측 3수지 중수지절 신전건의 탈구

해부학적 특징

시상대는 중수지절(MCP) 관절을 둘러싸는 띠 모양의 구조물로, 신전건이 손가락 중앙에서 벗어나지 않게 고정합니다.

 

주로 중지(3번째 손가락)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요측(radial,엄지방향쪽) 시상대가 척측(ulnar,새끼손가락쪽)보다 9:1 비율로 더 자주 파열됩니다.

 

시상대는 표재층과 심부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전건은 이 사이를 통과합니다.

 

원인

직접 외상: 주먹을 쥐고 맞거나, 손등에 강한 충격이 가해질 때(딱밤).

 

반복적 미세손상: 권투선수,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직업 등에서 반복적으로 발생.

 

만성 염증성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등 만성 염증성 질환에서도 자주 발생.

 

일상적 가벼운 동작으로도 고령자나 약화된 시상띠에서는 파열이 일어날 수 있음.

 

 

증상 및 징후

신전건의 아탈구 또는 탈구: 손가락을 구부렸다 펼 때 신전건이 중앙에서 벗어나 옆으로 밀리거나 완전히 빠짐.

 

손가락 펴기(신전) 장애 및 불안정감.

 

통증, 부종, 소리: 손가락을 움직일 때 '딸깍' 소리가 나거나, 통증 및 부종 동반.

 

주먹을 쥘 때 증상 악화: 중수지절 관절을 굽히면 신전건이 더 쉽게 탈구됨.

 

진단

이학적 검사: 손가락을 굽혔다 폈다 하면서 신전건의 위치 변화 관찰.

 

초음파: 시상대 파열의 위치와 범위, 신전건의 아탈구/탈구 여부를 동적 검사로 확인.

 

 

 

 

MRI: 복합 손상 또는 만성 손상에서 추가 평가에 사용.

 

반응형
300x250

치료

부분 파열 및 경미한 아탈구: 보조기(반깁스) 착용, 휴식, 물리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

Hook splint

완전 파열 또는 반복되는 탈구: 수술적 재건술(시상대 봉합 또는 재건)이 필요할 수 있음.

 

만성/염증성 질환: 원인 질환의 치료와 병행.

 

기타

Boxer's knuckle(복서의 손가락)이라는 별칭이 있으며, 권투선수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방치 시 만성 신전건 불안정, 손가락 기능 저하, 2차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시상대파열(Sagittal band rupture)은 손가락 중수지절 관절에서 신전건을 고정하는 시상대가 파열되어 신전건이 중앙에서 벗어나며, 주로 외상이나 만성 염증성 질환에서 발생합니다. 중지와 요측 시상대에서 가장 흔하며, 손가락을 펼 때 신전건이 옆으로 밀리거나 탈구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증상에 따라 보존적 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300x250
반응형

'정형외과 > 수부 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퀘르벵병  (4) 2025.07.14
볼러스엄지(볼링선수 엄지 신경병증)  (5) 2025.07.10
손목 골절  (2) 2025.07.07
손목 터널 증후군(수근관증후군)  (1) 2025.07.06
방아쇠 손가락  (1)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