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피낭종(피지낭종)
피하낭종은 피부 바로 아래에 발생하는 양성 주머니(낭종) 형태의 질환으로, 주로 표피세포 또는 피지선의 일부가 진피나 피하지방층으로 파고들어 혹처럼 주머니를 형성하면서 생깁니다. 이를 흔히 "표피낭종" 혹은 "피지낭종"이라고도 부릅니다. 크기는 작게는 1cm 미만에서 5cm 이상까지 다양하며, 얼굴, 목, 등, 귀 뒤 등 신체 여러 부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징 및 발생 원인평상시 무증상이지만, 점차 커질 수 있습니다. 만졌을 때 말랑말랑하거나 단단하고, 피부 표면에는 작은 구멍(면포)이 보이기도 합니다. 내부에는 케라틴(각질)과 피지 등으로 이루어진 치즈처럼 부드럽고, 누르면 악취가 나는 내용물이 차 있습니다. 주로 모낭이 막히거나, 외상, 피부가 깊이 파고 들며 상피세포가 증식할 때 생깁니다..
2025. 8. 16.
관절 영양제 (관절보조식품)
관절 영양제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연골을 구성하고 재생을 돕는 성분을 포함한 제품군, 둘째, 관절의 염증을 줄여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에 중점을 둔 성분군입니다. ♼ 연골 구성 및 보호 중심 ♦ 글루코사민: 연골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연골 합성을 촉진해 보호 효과가 있습니다. 콘드로이친과 함께 복용하면 시너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주의점: 갑각류(새우, 게) 유래 제품이 많아, 갑각류 알러지가 있는 경우 주의해야 합니다. 혈당 상승 가능성이 있어 당뇨병 환자는 섭취 전 의료진과 상담해야 합니다. 부작용: 가벼운 소화불량, 메스꺼움, 설사 또는 변비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금기사항: 임산부, 수유부, 어린이, 그리고 특정 항응고제(와파린 등) 복용 중..
2025. 8. 14.
결절종
결절종(Ganglion cyst)은 관절이나 힘줄 주변의 연부 조직에 생기는, 점성이 높은 액체가 들어있는 양성(암이 아닌) 혹입니다. 주로 손목, 손등, 발목 등 관절 부위에 많이 발생합니다. ♼ 주요 특징 형태와 위치: 피부 아래 둥글고 단단한 혹(물혹) 형태로, 손목 윗면(손등 쪽)이나 아랫면(손바닥 쪽)에 주로 생깁니다. 내용물: 점도의 높은 관절액(점액)이 차 있으며, 낭종은 투명하거나 만졌을 때 움직이는 느낌이 납니다. 증상: 대부분 통증 없이 발견되지만, 크기가 커질 경우 통증, 불편감, 저림, 근력 저하와 같은 신경 압박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원인: 반복적 손목 사용, 미세 외상, 관절막 또는 힘줄막의 약화 등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빈도: 20~40대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
2025. 8. 9.
무릎뼈 힘줄염(슬개건염, Patellar tendintis, Jumper's knee)
무릎뼈 힘줄염(슬개건염, Patellar tendinitis)은 무릎뼈(슬개골)와 정강이뼈(경골)를 잇는 힘줄인 슬개건에 염증, 손상 또는 퇴행성 변화가 생기는 질환입니다. 슬개건은 무릎 위 근육과 경골을 연결해 무릎을 구부리고 펴는 기능을 합니다. ♼ 원인 주로 무릎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무리하게 반복하는 활동(점프, 달리기, 농구, 축구, 인라인, 헬스 고중량 스쿼트 등)에서 발생합니다. 갑자기 심한 운동을 하거나 높은 강도의 반복적 운동으로 인해 힘줄에 무리가 가해질 때 생깁니다. 장시간 무릎을 구부리고 있거나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을 계속하는 것도 위험 요인입니다. ♼ 증상 무릎뼈 아래쪽, 특히 슬개건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며, 누르면 아픈 압통이 있습니다. 걷거나 뛰는 등 체중이 무릎에 실릴 때 통..
2025. 8. 5.
내성 발톱( 내향성발톱, ingrowing nail )
내성 발톱(내향성 발톱)은 발톱이 옆의 살 안으로 파고들면서 심한 통증, 염증, 부종, 고름 등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엄지발가락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 원인 발톱을 너무 짧거나 둥글게 깎는 습관 꽉 끼는 신발, 하이힐, 군화, 운동화 등 압박이 심한 신발 착용 발톱 무좀으로 인한 발톱 변화 비만, 노화, 당뇨 등으로 발톱이 자연스럽게 굴곡을 이루는 경우 유전적 요인이 관여할 수 있음 발가락뼈 돌출, 반복적인 충격 등 구조적·기계적 원인 ♼ 증상 초기: 붉게 부어오르면서 국소 열감, 통증 진행: 진물, 고름, 냄새, 보행 시 통증이 심해짐 만성화: 반복 감염, 발톱 주변 피부의 단단한 결절, 신발 착용이나 걷기 자체가 곤란해짐♼ 치료 1. 비수술적(보존적) 치료 ♦솜뭉치/치실 삽입발톱 모서리 ..
2025.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