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6

펀치드렁크(Punch Drunk) 펀치 드렁크(Punch Drunk)는 반복적인 머리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 Chronic Traumatic Encephalopathy)의 일종입니다. 주로 복싱 선수 등 머리에 강한 외부 충격을 자주 받는 운동선수들에게서 많이 나타나지만, 최근에는 축구, 미식축구 등 격렬한 스포츠 선수들에게서도 발견되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 및 증상정신적·신경학적 증상: 기억상실, 치매, 실어증, 정신불안, 반신불수 등 다양한 신경계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행 과정: 급성(혼수상태, 정신불안, 기억상실 등)과 만성(치매, 실어증, 반신불수 등) 증상 모두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원인: 반복적인 외상으로 인해 뇌에 타우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축적.. 2025. 7. 11.
당뇨발(DM foot) 당뇨발(당뇨병성 족부병증)은 당뇨병 환자의 발에 생기는 다양한 병적 상태를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대표적으로는 발의 상처, 궤양, 감염, 괴사 등이 포함되며, 심할 경우 절단까지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입니다. ⚫ 원인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을 때 혈관과 신경에 손상이 생깁니다. 신경병증으로 인해 발의 감각이 둔해져 상처를 잘 인지하지 못하고,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상처가 잘 낫지 않습니다. 면역력 저하로 세균 감염에 취약해지며, 작은 상처도 쉽게 악화됩니다. 흡연, 장기간 당뇨병, 혈당 조절 불량 등이 위험을 높입니다. ⚫ 주요 증상 및 문제 발 궤양: 피부나 점막 조직이 헐어 상처가 깊어짐. 감염: 상처 부위에 세균이 침투해 염증, 심하면 뼈까지 감염. 괴사: 혈액순환이 심하게 저하되면 조직이 .. 2025. 7. 10.
볼러스엄지(볼링선수 엄지 신경병증) **Bowler's thumb**은 주로 볼링 선수에게 발생하는 드문 신경병증으로, 엄지손가락의 척측(ulnar) 디지털 신경이 반복적인 압박이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상태입니다. 이 신경은 엄지의 안쪽(새끼손가락 쪽)을 따라 분포하며, 감각을 담당합니다. ♼ 원인반복적인 압박과 마찰: 볼링공의 엄지 구멍이 너무 작거나, 볼링 동작에서 엄지에 반복적으로 강한 압력이 가해질 때 발생합니다. 볼링 외 활동: 조정, 원예, 무술 등 엄지에 반복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활동에서도 드물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잘못된 볼링공 구멍 크기: 엄지 구멍이 너무 타이트하면 신경에 지속적으로 압박이 가해집니다. ♼ 증상엄지 안쪽의 통증과 저림(tingling), 감각 저하(무감각). 첫 번째 손가락과 검지 사이의 통증. 엄지.. 2025. 7. 10.
시상대 파열( sagittal band rupture) 시상대 파열(sagittal band rupture)은 손가락의 중수지절 관절에서 신전건(extensor tendon)을 정중앙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시상대(sagittal band)가 파열되어 신전건의 불안정, 아탈구 또는 완전 탈구가 발생하는 손 부상입니다. ♼ 해부학적 특징시상대는 중수지절(MCP) 관절을 둘러싸는 띠 모양의 구조물로, 신전건이 손가락 중앙에서 벗어나지 않게 고정합니다. 주로 중지(3번째 손가락)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요측(radial,엄지방향쪽) 시상대가 척측(ulnar,새끼손가락쪽)보다 9:1 비율로 더 자주 파열됩니다. 시상대는 표재층과 심부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전건은 이 사이를 통과합니다. ♼ 원인직접 외상: 주먹을 쥐고 맞거나, 손등에 강한 충격이 가해질 때(.. 2025. 7. 9.
아킬레스건 파열 아킬레스건 파열은 종아리 근육(비복근, 가자미근)과 발뒤꿈치 뼈(종골)를 연결하는 힘줄인 아킬레스건이 끊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인체에서 가장 크고 강한 힘줄로, 걷기, 달리기, 점프 등 하체의 주요 움직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 주요 원인격렬한 운동 중 부상: 축구, 농구, 배드민턴 등 달리기와 점프가 많은 스포츠에서 착지나 방향 전환 시 주로 발생합니다. 준비운동 부족: 스트레칭이나 준비운동 없이 갑자기 격렬한 활동을 시작할 때 위험이 커집니다. 퇴행성 변화: 나이, 혈액순환 저하, 아킬레스건염 등으로 힘줄이 약해진 상태에서 미세손상이 누적되면 파열 위험이 높아집니다. 기타 요인: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스테로이드나 특정 항생제(플루오로퀴놀론계) 복용 등도 위험 인자입니다. ⚫ 대표.. 2025. 7. 8.
족저 근막염(plantar fascitis,발바닥근막염) 족저근막염은 발바닥에 있는 두꺼운 섬유띠인 족저근막에 반복적인 미세 손상이나 과도한 사용이 가해져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발뒤꿈치와 발바닥에 통증이 나타나며, 성인 발뒤꿈치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뼈(종골)에서 시작해 발가락 기저부까지 이어지는 강인한 섬유띠로,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며,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발을 들어 올릴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주요 원인과도한 운동(달리기, 등산, 에어로빅 등)이나 장시간 서 있기비만 등으로 발에 과부하가 걸릴 때 평발이나 요족(아치가 높은 발) 같은 발의 변형딱딱한 바닥에서 오래 걷기 또는 부적절한 신발 착용 근력 약화나 노화로 인한 족저근막의 퇴행성 변화♼ 특징 및 기타 정보여성이 남성보다 1.. 2025. 7. 8.
손목 골절 원위 요골 골절(Fracture of Distal Radius)은 팔의 두 뼈 중 하나인 요골(radius)의 손목 가까이(원위부)가 부러지는 손목 골절로, 상지(팔) 골절 중 가장 흔한 유형입니다. 일상적으로 "손목 골절"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주로 손을 짚고 넘어질 때 발생합니다. 특히 골다공증이 있는 65세 이상 여성이나, 인라인스케이트·스키·스노우보드 등 활동을 하는 젊은 층에서도 자주 발생합니다. ♼ 주요 원인 손을 짚은 상태에서 넘어질 때 손목에 큰 충격이 가해져 발생 골다공증(노인,폐경) 등으로 뼈가 약해진 경우 더 쉽게 골절고에너지 외상(교통사고, 스포츠 손상 등)에서도 발생 가능 ♼ 대표 증상 손목의 심한 통증과 붓기 골절 부위의 멍과 외관상 변형(특히 '포크 모양 변형', silver .. 2025. 7. 7.
손목 터널 증후군(수근관증후군) **손목 터널증후군(수근관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은 손목에 위치한 좁은 통로(손목터널, 수근관)를 지나가는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신경은 엄지, 검지, 중지, 약지(엄지 쪽 절반)의 감각과 일부 근육의 움직임을 담당합니다. ♼ 원인손목터널의 단면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정중신경이 눌려 증상이 발생합니다. 정확한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반복적인 손 사용, 손목 부상, 임신, 당뇨병, 비만, 갑상선기능저하증, 폐경, 관절염 등 다양한 요인이 위험을 높입니다. *특히 40~60대 여성과 손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주부, 미용사, 사무직 등)에서 흔하게 나타납니다. ♼ 주요 증상엄지, 검지, 중지, 약지(엄지 쪽 절반)의 저림, 감각 저하, .. 2025. 7. 6.
방아쇠 손가락 **방아쇠 손가락(Trigger Finger, 방아쇠 수지)**는 손가락을 구부리는 힘줄(굴곡건)이나 힘줄을 감싸는 막(건막, 힘줄집)에 염증이 생겨,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펼 때 '딸깍' 소리와 함께 걸리는 듯한 현상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증상 때문에 마치 총의 방아쇠를 당겼다 놓는 것처럼 손가락이 갑자기 튀듯이 펴지거나, 심한 경우 손가락이 구부러진 채로 고정되기도 합니다. ♼ 주요 원인 반복적 손 사용: 손잡이 달린 도구, 운전대, 드릴,운동(골프,테니스) 등 반복적으로 손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염증 및 결절: 힘줄이나 힘줄집에 염증이 생기거나, 결절(혹)이 형성되어 힘줄이 원활하게 움직이지 못하고 걸리게 됩니다. 기저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당뇨병 등과 연관되어 나타.. 2025. 7. 5.
발작성 손가락 혈종(Achenbach syndrome) ※Achenbach syndrome(아헨바흐 증후군)은 손가락이나 손바닥에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통증, 부종, 멍(청색 또는 보랏빛 변색)을 특징으로 하는 드문 양성(비위험성) 질환입니다. 이 증후군은 paroxysmal finger hematoma 또는 painful blue finger라고도 불리며, 주로 중년 여성에서 많이 보고됩니다. 전체 인구에서 여성의 유병률은 약 12.4%, 남성은 1.2%로 추정됩니다. ♣ 주요 특징 및 증상 손가락(특히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손가락)이나 손바닥의 갑작스러운 멍, 부종, 통증, 저림 증상은 보통 손가락 끝(손톱, 손끝)에는 나타나지 않음 멍과 부종은 특별한 외상 없이도 발생할 수 있으나, 약 30%에서는 손빨래, 바닥 쓸기, 자전거 타기 등 경미한 손의 사용.. 2025. 7. 4.
손가락 피부 비후증(pachydermodactyly) 손가락 피부 비후증(pachydermodactyly)은 손가락 관절 부위 피부가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는 매우 드문 양성 섬유종증입니다. 주로 젊은 남성에게서 2~4번째 손가락의 근위지간관절(손가락 마디) 부위에 양측성으로 발생하며, 통증이나 운동 장애가 거의 없고, 외형상 부종(붓기)만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주요 특징 원인: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반복적인 물리적 자극(손가락 꺾기, 문지르기, 스트레칭 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증상: 손가락 관절 부위의 대칭적이고 방추형(양쪽이 불룩한 형태) 연부조직 팽대(부종)가 나타나며, 통증, 발적, 열감, 기능 장애는 거의 없습니다. ♼ 진단: 단순 방사선 촬영에서는 뼈의 이상 없이 연부조직만 두꺼워진 것이 보이고, MRI에서도 관절 내.. 2025. 7. 3.
소아 팔꿈치(외과) 골절 **소아 외과 골절**은 소아(어린이)에서 발생하는 뼈의 골절 중 특히 관절 부위, 즉 뼈의 끝부분(상완골 원위부 등)에서 발생하는 골절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상완골 외과 골절(lateral condylar fracture of the humerus)이 있으며, 이는 소아에서 두 번째로 흔한 상완골 원위부 골절입니다. ♼ 소아 외과 골절의 특징 *발생 부위: 주로 팔꿈치 관절 부위(상완골 원위부, 외측과)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소아의 경우 팔을 펴고 넘어지면서 손을 짚을 때(FOOSH injury) 잘 생깁니다. *해부학적 특성: 소아의 뼈는 아직 완전히 골화되지 않았고, 성장판이 남아 있어 성인과는 다른 골절 양상(불완전 골절, 성장판 손상 등)을 보입니다. *성장판 손상: 외과 골절은 성장판을 침.. 2025. 7. 2.
무릎 퇴행성 관절염 무릎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은 무릎 관절을 이루는 연골이 점차 마모되어 통증과 염증, 운동 제한, 변형 등을 일으키는 만성 질환입니다. 주로 노화와 관련이 깊으며,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60% 이상에서 발병할 정도로 흔합니다. ♼ 주요 증상 통증: 초기에는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오래 걷는 등 관절을 사용한 뒤에 통증이 나타나고, 쉬면 호전됩니다. 진행되면 움직이지 않아도 통증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뻣뻣함과 운동 제한: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어려움이 생기고, 관절이 뻣뻣해집니다. 부종 및 물이 참: 관절 내부에 염증이 생기면서 무릎이 붓고, 관절액이 차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마찰음: 관절을 움직일 때 삐걱거리는 소리나 마찰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 관절 변형: 시간이 지나면 관절이 O.. 2025. 6. 30.
외상과염(테니스엘보우) 외상과염(外傷果炎, Lateral Epicondylitis)은 흔히 ‘테니스엘보(Tennis elbow)’로 불리며, 팔꿈치 바깥쪽(외측상과)에 발생하는 힘줄의 퇴행성 변화와 염증성 통증 질환입니다. 주로 손목과 손가락을 펴는(신전) 근육이 상완골 외측상과에 부착되는 부위에서 미세 손상이 반복되어 발생합니다. 팔꿈치 안쪽(내측상과)에 발생하는 경우 내상과염 혹은 골퍼스엘보우(Golf elbow)로 불리운다. ♼ 원인 반복적이고 과도한 팔과 손목 사용이 주 원인입니다. 테니스, 배드민턴, 골프 등 팔을 많이 쓰는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반복적으로 팔을 사용하는 직업(목수, 요리사, 주부, 컴퓨터 작업자 등)에서도 흔히 발생합니다. 한 번의 큰 충격보다는 작은 충격이 누적되어 힘줄과 인대에 미세 파열이.. 2025.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