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근증후군(좌골신경포착증후군, Piriformis Syndrome)
이상근증후군(좌골신경포착증후군, Piriformis Syndrome)은 엉덩이 근육 중 하나인 이상근(piriformis muscle)이 그 아래를 지나가는 좌골신경(sciatic nerve)을 압박하거나 자극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허리디스크와 유사하게 엉덩이, 허벅지 뒤쪽, 종아리, 또는 발까지 저림, 당김, 통증, 무감각, 이상감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주요 내용이상근은 고관절을 바깥으로 돌리는 기능을 하는 근육으로, 신경이 지나가는 자리와 가깝기 때문에 여러 원인에 의해 두꺼워지거나 긴장할 때 좌골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증상 엉덩이 중심의 통증이 특징적이며, 다리 뒤쪽으로 통증이 뻗는 방사통이 종종 동반됩니다. 오래 앉아 있거나 딱딱한 곳에 앉았다 일어날 때, ..
2025. 7. 25.
망치형손가락(Mallet finger, Footballer's finger injury)
망치형 손가락(Mallet finger, 추지, 망치수지)은 손가락 끝마디 관절(원위지간관절, DIP joint)이 갑자기 강한 힘을 받으면서 손가락을 펴는 힘줄(신전건)이 끊어지거나, 그 부위의 뼈가 부러져 발생하는 변형입니다. 이로 인해 손가락 끝마디가 구부러진 채 자신의 힘으로는 펴지지 않고, 다른 손으로 펴면 쉽게 펴지는 특징을 보입니다. ♼ 원인 ♦ 운동 중 부상: 야구, 농구 등에서 공에 손가락 끝이 직접 맞아 강하게 꺾일 때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 일상 생활 중 외상: 손가락 끝에 무거운 물건이 떨어지거나, 문에 손가락이 끼이거나, 옷이나 이불을 세게 잡아당기다 손가락 끝이 갑자기 꺾일 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리한 물체에 의한 손상: 칼, 유리 등 날카로운 물체에 손가락 ..
2025. 7. 23.
대퇴 비구 충돌증후군(Femoroacetabular Impingement, FAI)
대퇴 비구 충돌증후군(Femoroacetabular Impingement, FAI)은 고관절(엉덩이 관절)을 이루는 대퇴골(넓적다리뼈)과 비구(골반의 소켓 부분) 사이에 구조적 이상이 생겨 서로 충돌하면서 통증과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이 충돌이 반복되면 관절 내 연골이나 비구순(관절순) 등 연부조직이 손상되고, 장기적으로는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원인 및 기전 고관절(엉덩이 관절)의 정상 운동 범위를 넘는 과격한 운동이나 체조, 반복적인 굴곡과 내회전이 많이 요구되는 운동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운동이나 동작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체조, 무용, 발레 등 고관절의 유연성과 극단적인 움직임이 반복되는 스포츠☛ 축구, 농구, 럭비 등 방향 전환과 점프, 빠른..
2025. 7. 19.
시버병(Sever's disease), 종골단염
Sever's disease(시버병, 세버병)은 성장기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흔히 발생하는 뒤꿈치뼈(종골, calcaneus) 성장판의 염증입니다. 의학적으로는 종골단염(calcaneal apophysitis)라고 부르며, 주로 8~15세 사이의 활동적인 아이들에게서 나타납니다. ☪ 원인 성장판(골단) 부위에 반복적인 충격과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 발생합니다. 아킬레스건이 종골 성장판에 반복적으로 당겨지거나 압박을 받으면서 염증이 생깁니다.운동량이 많은 시기(예: 달리기, 축구, 농구 등)나 급격한 성장기에 잘 발생합니다. ☪ 주요 증상 뒤꿈치 통증: 특히 운동 후나 활동 중에 악화되며, 양쪽 또는 한쪽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종, 발적, 압통: 뒤꿈치 부위가 붓거나 빨개질 수 있습니다. 발을 절거나, 발..
2025. 7. 18.
내측 경골 스트레스 증후군
내측경골 스트레스 증후군 Medial tibial stress syndrome (MTSS), 흔히 "shin splints(정강이 통증)"로 불리는 질환은 운동 시 정강이뼈(경골, tibia)의 안쪽(내측)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과사용 손상입니다. 주로 달리기, 점프, 갑작스러운 운동량 증가 등 반복적이고 강도가 높은 하체 활동을 하는 운동선수나 활동적인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 원인 및 병태생리 과도한 반복적 부하가 경골과 그 주변 근육, 힘줄, 뼈막(골막)에 미세 손상을 일으키며, 이 손상이 충분히 회복되지 못하면 염증과 통증이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에는 갑작스러운 운동량 증가, 잘못된 운동화, 단단하거나 경사진 지면에서의 운동, 발의 정렬 이상(예: 평발), 근력 및 유연성 부족 등이 있..
2025. 7. 17.
골프성 늑골 피로골절
골프성 늑골 피로골절은 골프 스윙과 같은 반복적이고 강한 회전 운동으로 인해 갈비뼈(늑골)에 미세한 금이 가는 질환입니다. 외부 충격이 아닌, 반복적인 스트레스와 과도한 사용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스트레스성 골절(피로골절)입니다. ⚫ 원인 반복적 스윙: 백스윙, 다운스윙, 피니시 과정에서 늑골에 반복적으로 힘이 가해짐 준비 운동 부족: 근육이 충분히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운동을 할 때 발생 위험 증가 자세 불량, 과도한 연습: 잘못된 스윙 자세, 갑작스러운 연습량 증가 근력 부족, 골다공증: 근육이 약하거나 뼈가 약한 경우 더 쉽게 발생 ⚫ 주요 증상 옆구리나 등, 가슴 부위의 통증 숨을 들이마시거나 기침할 때, 상체를 돌릴 때 통증 악화 특정 부위를 누를 때 압통 부기, 멍, 심한 경우 일상 ..
2025. 7. 15.
오십견(유착성 피막염, 동결견,냉동견)
오십견(의학적 명칭: 유착성 관절낭염, 동결견)은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관절낭에 염증이 생기면서 어깨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50대 전후에 많이 발생한다고 해서 ‘오십견’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40~50대뿐 아니라 그 외 연령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원인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주로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 운동 부족, 또는 어깨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부상·입원 등)와 관련이 있습니다. 당뇨병, 갑상선 질환 등과 연관되어 발생하기도 하며, 특별한 원인 없이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 증상어깨의 통증: 특히 밤에 심해지는 야간통이 특징적입니다. 관절 운동의 제한: 팔을 올리거나 돌리기 어렵고, 스스로 팔을 들어올릴 수 없으며, 남이 도와줘도 움직임..
2025. 7. 13.
골다공증(osteoporosis)
골다공증은 뼈의 양이 줄어들고 구조가 약해져서, 뼈가 쉽게 부러지는 질환입니다. '골다공'이라는 말 자체가 뼛속에 구멍이 많이 생긴다는 뜻으로, 정상적인 뼈에 비해 골밀도가 낮아져 뼈가 푸석푸석하고 약해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특징 ♦골밀도와 골강도 감소: 뼈의 양(골량)과 질이 모두 저하되어, 작은 충격이나 일상적인 활동 중에도 골절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서, 골절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본인이 골다공증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절이 발생하면 통증, 신체 변형(허리 굽음, 신장 감소), 전신 쇠약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골절 부위: 척추, 손목, 고관절(엉덩이뼈)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특히 노인 여성에서 흔하게 나타납니다.⚫ 원인 ♦노화:..
2025. 7. 12.